👿 이슈사항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hydration-error라는 에러창이 나타났다. 신체부위별 차트를 보여주는 화면에서 신체 포지션(front, back, face) 값을 recoil로 관리하고 있는데 새로고침하면신체 포지션 값이 front(디폴트값)로 바뀌어버리는 현상이 발생했다. 위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신체 포지션을 관리하는 atom에 persist를 설정했다.다시 새로고침을 해보니 현재 신체 포지션이 front일 때는 문제가 없는데 현재 신체 포지션이 back이나 face일 경우새로고침하면 하이드레이션 오류가 발생했다. 💡 해결과정 1차, 2차 프로젝트를 하면서 React를 사용할 때는 보지 못했던 종류에 에러라 서치를 해보니 Next.js를 사용하면서 발생하게 된 오류였다. Nex..

👿 이슈사항 위와 같이 신체부위 일러스트를 통해 신체부위를 클릭하면 해당 신체부위에 대해 기록한 내용을 볼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네비게이터 역할을 하는 SVG가 필요했다. 일러스트를 통해 신체부위를 선택할 수 있는 컴포넌트를 BodyNavigator라고 칭하기로 하고, 이 BodyNavigator는 아래와 같이 구현되어야 한다. - 이 BodyNavigator 컴포넌트는 기록하기 페이지, 기록확인-대시보드 페이지, 기록확인-차트 페이지 총 3가지 페이지에서 사용된다.- 기록하기 페이지에서는 BodyNavigator 뒤에 네모 배경이 들어가야한다.- svg를 클릭하면 해당 신체부위의 한글이름을 매칭할 수 있어야 한다.- 양쪽이 대칭인 신체부위(ex 윗팔, 골반, 허벅지 등)는 한쪽만 선택해도..

👿 이슈상황 랜딩페이지(토리가 등장해서 인사하는 페이지)를 구현한 후 원래 로그인 페이지로 연결되어있던 기본 URL을랜딩페이지로 연결되도록 설정하고 접속하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 해결과정 에러 메세지를 검색해보니 json경로가 잘못되어 발생하는 에러라고 한다. Failed to read the responseText error. · Issue #1925 · airbnb/lottie-webI am exported an animation using latest version of bodymovin plugin but unable to get it work. works fine on demo file but not on the live page. data.zip Also, does i..

인공지능 모델에 대해서 복습도 할 겸 강의 때 예제로 있었던 문장의 감정을 분류해내는 모델을 증상으로 진료과목을 예측하도록 한번 돌려봤는데 정확도가 0.13정도가 나왔다... 데이터 전처리를 더 해보고 코치님이 주신 TF-IDF 유사도 분석을 통한 유사도 높은결과 추천해주는 코드 분석해서 따라해봐야겠다.정확도 수치는 안나와도 유사도로 진료과목이 예상대로 나오면 적당히 성공이지 않을까 싶다..ㅎ 그리고 중요한 사안 중에 하나인 서비스명 정하기...!!서비스명은 팀원들이 각자 의견을 낸 다음에 투표로 결정하기로 했고 후보로 나온 이름들은 5~6가지 정도 있었다. 톡투닥메디북바디토리 (바디 + 히스토리 or 바디 + 스토리)기록케어 (기록해요)바디로그 (바디 + log) 이 ..

프로젝트 주제를 결정하고 역할을 분담하는데 5명이 모두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취업을 희망하는 사람들이다보니 포트폴리오에 쓸 프론트엔드로써의 프로젝트가 필요해서 프론트엔드는 5명이 골고루 나눠서 작업하되 3명은 백엔드를 맡고, 2명은 인공지능을 맡기로 했다. 나는 인공지능 파트를 맡았는데 그 이유는 프로젝트 기획을 내가 했기 때문에딥러닝 모델이 어떻게 동작해야하고, 어떤 결과를 내야할지, 어떤 데이터셋이 필요한지를 내가가장 잘 이해하고 있어서 인공지능 파트를 내가 리드하기로 했다. 딥러닝 모델에 어떤 기법을 써야할지와 같은 구체적인 방법들은 오피스아워(현업 개발자 코치님과 질의응답 시간)를 통해 코치님께 많은 도움을 받았는데 모델 구현보다 힘들었던 것은 모델을 학습시키기에 적당한 데이터셋을 찾는 일이었다..

팀원들과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회의한 결과 내가 의견을 냈었던음성인식으로 몸 상태를 기록하는 서비스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기로 했다. 주요 서비스 정도만 생각했던 정도에서 기획 배경, 기획 의도 등도 좀 더 자세하게 생각해보고서비스 내용도 구체적으로 디벨롭해보았다. 실제로 서비스를 만들어 배포한다고 생각하고 예상 사용자나 서비스의 확장성도 고려해보았는데 진짜로 잘 개발된다면 공모전 같은데 출품해봐도 좋을 것 같은 느낌..?! 내가 스스로 무언가를 생각하고 계획하다보면 이게 맞나? 싶으면서도 한없이 자신감이 차오르는 그 기분.. ㅋㅋㅋㅋ 아무튼간에..! 열심히 기획서를 작성해서 팀원들에게 공유하였다. 팀원들 의견을 반영해서 더 디벨롭할 내용이나 프로젝트 기간 안에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 등을..

드디어 엘리스 AI트랙의 마지막 일정이 될 3차 팀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3차 프로젝트는 "인공지능 웹 서비스 프로젝트"이다. 그동안 배운 웹 개발 지식, 데이터분석 기법, 머신러닝, 딥러닝 지식을 활용하여"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웹 서비스"를 제작해야 한다. 사실 오늘이 프로젝트 시작 1일차는 아니고 팀 구성 결과발표가 난 날인데모든 팀은 엘리스 측에서 랜덤으로 구성해주는데 정말 놀랍게도 프론트엔드 개발자 지망 5명이서 한 팀이 되었다...ㅋ...ㅋ 하지만 이겨냅니다.. 삐롱히죠? 일단 주제를 잘 잡는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데 주제는 엘리스 측에서 제안한 주제를 선택할 수도 있고 자유주제로 선택할 수도 있다. 아 그리고 프로젝트 시작 전 사전조사에서 인공지능 모델을 자연어 처리를 다룰 것인지,..

⛳ 서비스 기획 배경 및 의도 환경 문제에 대한 심각성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최근 국민들을 대상으로 환경 문제에 대한 불안감을 조사한 결과 "보통 이상이라는 응답이 약 79%"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환경 문제에 대해 단순히 심각성을 인지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환경 오염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노력과 관심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환경문제 중 하나인 생활쓰레기 배출량은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그 원인에는 다양한 이유들이 있겠지만 짧은 유행과 그에 따른 소비 트렌드 변화,배달/택배 서비스 등의 증가로 인한 일회용 쓰레기의 증가 등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생활에서 쉽게 버려지는 제품들에 새로운 가치를 ..

매일매일 회고를 쓰려고 했지만 프로젝트에 집중하다보니 하루를 정리하고 회고를 쓰는 시간도 생각보다시간이 많이 소요되서 매일매일까지는 못쓰더라도 되도록이면 자주 쓰도록 노력할테다. 저번주에 기획, 디자인을 완료하고 기획단계의 근거로 필요한 데이터분석도 프로젝트 뱡향이 정해질 정도로는 완료되었다. 데이터분석은 오피스아워에서 받은 피드백을 반영하고 다음에 그 반영된걸 또 보여드리고거기에 또 피드백 받고 이런식으로 야금야금 진행할 예정이다. 팀에 데이터분석 지망이 없다보니 데이터분석 프로젝트지만 데이터분석은 필수적인 최소한으로 하고 웹 서비스 개발에 좀 더 집중하기로 했다. 나는 우선 스타일 가이드를 바탕으로 버튼, 폼 요소 등 공통 컴포넌트를 작성하고, 헤더 푸터 등 레이아웃 잡는 작업과로그인, 회원가입 컴포..

어제 열심히 조사하고 논의해서 정했던 2개의 주제 후보(의류 폐기물 업사이클링, 자전거 이용권장)을 제외하고 각자 더 생각해온 아이디어에 대해 논의하였다. 추가로 나온 아이디어는 생활폐기물과 플로깅이었다. 생활폐기물에 관련해서는 Kosis에서 관련된 국내 데이터를 다른 주제들보단 쉽게 찾을 수 있었고, 눈에 보이는 수치만 대략적으로 분석해봐도 생활폐기물량이 증가하고 있다는 결과가 명확해서 이 문제를 선택한 근거를 만들기 좋았다. 플로깅은 이 주제로 만들고자 하는 서비스는 명확했는데, 국내 쓰레기통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함께 플로깅할 사람을 모집하여 함께 미션을 수행하며 인증하며 포인트를 쌓는 것이 주요 기능이 되는 서비스를 생각했다. 하지만 많은 환경운동 중 왜 플로깅을 해야되는지..
